불교대학

불교의 자비사상, 생명사상을 특성화 하여 세상속에 지혜의 불빛을 밝히려 불교학의 새 심지를 돋우고 있습니다.

교육목표

불교학부의 교육목표는 불교정신에 입각하여 지혜와 자비를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데 있다. 학생들에게 이론∙교학과 실천∙응용이란 두 가지 트랙에서 다양한 전공 교과목들을 제공하여 지행합일의 진취적인 인격을 연마하도록 한다. 불교학부는 범어, 한문, 빨리어, 티벳어와 같은 필수 고전 언어들과 불교학·선학·인도 철학의 주요 연구 분야들을 폭넓고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각 학문분야의 학문 후속세대를 양성함과 아울러 현대사회와 교계가 필요로 하는 실용적이고 실천적인 분야의 다양한 강좌들을 제공하여 불교적 인격과 소양을 갖춘 지도자를 배출하는 것을 추구한다.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불교학부의 주요 교육내용은 이론∙교학과 실천∙응용으로 구분된다. 이론∙교학의 경우 기존의 문헌학적 경향에서 점차적으로 탈피하여, 고고학 역사학 인류학 등 각종 인접학문과 연계하는 방향으로 학문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 현대사회와 종교계가 요구하는 필수적이고 실용적인 분야를 중심으로 불교적 지도자로서 갖추어야 할 실천적 지식을 습득하는 쪽으로 학문적인 방향이 흘러가고 있다. 불교학부에서는 이러한 이론∙교학과 실천∙응용이 각각 별개의 독립적인 분야로서 연구되는 것이 아니라, 양자가 상호의존적이고 상호보완적인 관계에서 연구되어 이론과 실천 그리고 교학과 응용을 겸비하는 종합적인 학문을 지향하고 있다.

졸업 후 진로

한국에서 유일한 불교학은 그간 세계 인류에 널리 보급되어 찬란히 발전해 온 불교의 역사문화와 심오한 사상체계를 연구하여 이상세계를 제시하며 창조적인 생활 선도에 헌신하는 인재를 배출해 왔다. 그리하여 이들은 현재 각 불교단체의 종무행정, 불교종립학교의 교법사 및 종교교사, 각 군의 군종장교 및 군법사, 사회사업, NGO 활동가, 학계(불교학자, 선학자, 인도학자), 교계 언론 및 미디어계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 하여 전법포교활동을 벌이고 있다. 명상 및 요가지도자, 선심리상담사, 교계 기업체 임직원 등 다양한 분야에도 진출하고 있으며, 특히 불교방송과 불교텔레비전의 개국은 불교학을 전공한 인재들의 사회진출 가능성에 대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 최근 더욱 넓어진 대학원 진학의 문은 심도있는 학문적 연마를 원하는 인재들에게 또 다른 사회진출의 길을 열어주고 있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김호성 김호성 철학박사 동국대학교
인도고대철학/
대승불교
우제선 우제선 철학박사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불교학
신성현 신성현 철학박사 동국대학교 계율학
지창규 지창규 철학박사 동국대학교 불교학
고영섭 고영섭 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불교, 동아시아불교
황순일 황순일 철학박사 영국 옥스포드대학 인도초기부파불교
허남결 허남결교수님사진 문학박사 동국대학교 서양윤리, 불교윤리
김종욱 김종욱 철학박사 서울대학교 불교와 철학
서왕모(정도) 서왕모교수님 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선사상
박청환(정덕) 정덕스님(박청환) 철학박사 옥스퍼드대학 인도불교
김경래 김경래 철학박사 동국대학교, 런던대학교 종교학
송영숙(서광) 서광스님(송영숙) 철학박사 ITP(현 Sofia University) 심리학
문현공 문현공 철학박사 동국대학교 응용불교학
정완스님(손진) 정완스님(손진) 철학박사 동국대학교 불교학
한재희 한재희 철학박사 오슬로 대학교 대승불교
  • 문의

    법학관 1층 166호 불교대학(원) 학사운영실

  • 전화

    02-2260-3098

문화재학과

홈페이지 바로가기

교육목표

불교문화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국의 문화재는 우리 조상들의 얼과 혼이 담긴 귀중한 자원일 뿐 아니라 세계종교인 불교의 보편적 진리를 증명하는 구체적인 자료의 원천이다. 불교와 관련된 문화유산은 한번 파괴되면 다시는 그 원형을 알 수 없으므로 그에 관한 조사·연구·보존·활용은 우리 민족, 나아가 인류 공동의 의무이자 과제이다. 문화재학과는 불교와 관련된 각종 동산·부동산·무형의 자원을 조사·연구, 전시, 교육, 보존, 관리할 수 있는 전문 지식인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문화재학과는 한국을 비롯한 인도, 중국, 일본 등의 미술과 고고 자료 전반을 분야별, 시대별로 폭넓게 연구, 보존,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소양을 배양함으로써 졸업 후 미술사학자, 고고학자, 보존과학자, 박물관학자, 문화행정가 등 사회 여러 분야의 전문 직종에 종사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최근 학문의 조류 및 전망

문화재학과의 교육내용은 크게 이론과 실습으로 구분된다. 이론 교육의 경우 고고학, 미술사, 보존과학, 박물관학 등 여러 학문 분야가 문헌학적 연구 경향을 탈피하여 점차 주변 학문과의 연계나 융합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문화재학과는 기초적인 개념과 이론을 교육한 뒤 반드시 발굴 현장이나 유적 현장, 박물관 현장, 보존과학 현장과 연계한 교육을 실시하여 현장 실무능력을 갖춘 실천적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였다. 불교 문화유산에 관한 이론과 구체적인 유적·유물에 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여 양자가 상호의존적이고 보완하는 관계가 되도록 하고, 이론과 실천을 겸비하는 종합적이며 실용적인 학문의 장이 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졸업 후 진로

지금까지 미술사나 고고학, 보존과학 등 각기 다른 분야에서 연구·교육되어 온 것을 ‘불교’라는 핵심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통섭하고 융합할 수 있도록 문화재학과에서 체계적으로 교육함으로써 한국의 불교 문화유산 분야의 최고 인재를 배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들은 각 불교 단체가 운영하는 성보박물관이나 문화재 발굴기관, 문화재청, 국립박물관, 학계, 교계 언론 및 미디어계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최근 더욱 넓어진 대학원 진학의 문은 심도 있는 학문적 연마를 원하는 인재들에게 또 다른 사회진출의 길을 열어주고 있다.

교수소개

교수소개
성명 사진 학위 최종학위 취득학교 전공
임영애 임영애 미술사학과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불교조각사
최응천 최응천 미술사학과
문화석사
홍익대학교
금속공예
  • 문의

    법학관 1층 166호 불교대학(원) 학사운영실

  • 전화

    02-2260-3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