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사항

[공모전]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상담학전공에서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2022학년도)

등록일 2021.11.28. 조회 2045

안녕하십니까?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상담학전공지도교수 윤희조입니다.


윤희조

 

 

이 글을 보시는 분 가운데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불교상담학에 매력을 느끼신다면, 불교상담학전공에서 본교의 커리큘럼과 컨텐츠를 함께 배우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본교는 커리큘럼을 유연하게 운영하기 때문에 다양하게 수업을 들을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불교상담학전공에서도 상담학과와 심신치유학과의 교과목을 수강할 수 있고, 상담관련 자격증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께서 활용하시기에 따라서 상담을 더욱 폭넓게 공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양한 상담과 불교상담의 핵심인 불교심리학을 동시에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본교에서 여러분과 함께 공부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상담의 지평을 넓히고 싶은 분

불교를 현대적으로 적용하고 싶은 분

붓다의 가르침을 현대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분

인문학적 지평에서 상담을 하고자 하는 분

 

◇ 불교상담학이란?

 

“불교상담학은 불교심리학에 기반하는 상담의 일종이다.”

 

상담학에는 심리학에 기반을 둔 다양한 상담이론이 존재한다. 그 가운데 심층심리학, 인지행동심리학, 인간중심심리학에 기반을 둔 상담이론이 유력한 상담이론이다. 일반상담이 이러한 세 가지 이론을 섭렵하고 이를 상담현장에 적용한다면, 불교상담은 불교심리학까지 포함해서 네 가지 이론을 섭렵하고 이를 상담현장에 적용하고자 한다.

 

불교상담학은 불교심리학에 기반하는 상담의 일종이다. 불교상담학은 인간과 마음을 바라보는 또 하나의 관점인 불교심리학을 상담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불교상담학은 상담이론에 머물지 않고 상담자와 내담자의 근원적인 변화를 추구한다. 불교에 대해서 깊이 알수록 근원적인 변화를 추구할 수 있다. 그렇다고 불교상담이 불교전체를 공부해야 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불교심리학’을 공부하는 것만으로도 시작할 수 있다.

 


◇ 교과과정 운영의 특징

 

1. 개개인의 상황에 적합한 맞춤식 교육을 추구한다.

2. 타전공과 타학과 수업을 유동적으로 수강할 수 있다.

3. 상담관련 자격증과 불교관련 자격증을 함께 취득할 수 있다.

4. 일주일에 하루 또는 이틀 저녁만 출석하여 학위과정을 마칠 수 있다.

5. 복수전공제도를 통하여 다른 전공의 석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6. 소정의 장학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7. 온라인, 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 취득 가능 자격증

1. 대한불교 조계종 주관 불교상담심리사 취득 가능

2. 한국 불교상담학회 주관 불교상담사 취득 가능

3. 한국상담심리학회 주관 상담심리사 취득 가능

4. 한국상담학회 주관 전문상담사 취득 가능

5. 문화관광부 주관 청소년상담사 취득 가능

6. 한국산업인력공단 주관 임상심리사 취득 가능

7. 불교상담사, 실존상담사, 평생교육사, 뇌교육사

8. 템플스테이지도자, 사찰신행상담가, 전문포교사

9. 복수전공시 명상지도사, 요가지도자, 심신치유교육사, 마음챙김에 근거한 스트레스 감소(MBSR) 프로그램 지도자, 마음챙김 인지치료(MBCT) 지도자 자격증

 

 


◇ 주요 교과과정

 

1. 불교상담의 토대

상담의 이론과 기술, 상담 면접 및 실습, 연구방법론, 심리평가의 이해, 상담사례연습, 집단상담과 심리치료

2. 불교상담의 실제

불교상담이론과 실제, 불교상담자 교육, 불교상담실습, 불교상담 세미나

3. 불교상담의 이해

불교심리학, 불교상담학, 초기불교의 상담적 이해, 대승불교의 상담적 이해

4. 불교상담의 발전

불교와 인지정서행동치료, 유식학과 상담, 선불교와 상담, 불교와 정신분석, 불교와 분석심리학, 불교와 초월심리학


 

 

◇ 불교상담학의 진로

상담센터, 사회복지기관, 평생교육원, 기업체, 학교, 사찰 등에서 상담전문가와 불교상담가로 활동


 

 

◇ 전공교수님

 

윤희조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

서울대학교 철학과 석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석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박사

한국불교상담학회 슈퍼바이저


 

박헌정 교수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박사

한국상담심리학회 슈퍼바이저


 

효록 스님

동국대학교 선학과, 불교학과, 사회복지학과

동국대학교 불교상담학과 석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자아초월상담학 박사

한국상담심리학회 슈퍼바이저

한국불교상담학회 슈퍼바이저

사회복지사 1급


 

임인구 교수

숭실대학교 영문학과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자아초월상담학 석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자아초월상담학 박사

연세대학교 종교철학 박사수료

실존상담전문가


 

안환기 교수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서울대학교 철학과 석사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박사

유식학, 응용불교학 전공


 

◇ 입학 전형

 

지원과정: 석사학위

지원자격: 학사학위,석사학위 취득(예정)자(학부 전공 무관)

 

원서접수: 2021년 12월 10일(금) - 20일(월)

컴퓨터 접속 : 본교 홈페이지(www.sub.ac.kr) 입학 안내>>>인터넷 원서접수에서 입학지원서 접수, 부속서류는 우편 또는 방문접수

핸드폰 접속 : sub.ac.kr 로 접속

전형일시 : 2021년 12월 23일(목) 10:00 (일자 조정가능, 010-4528-3320)

전형방법 : 면접 및 구술고사 (필기고사 없음)

합격자 발표 : 개별문자 및 이메일 발송


 

 

◇ 연락처

행정실 : Tel. 02-890-2800, Fax. 02-890-2899

상세문의 : 010-4528-3320, heecho1218@hanmail.net (윤희조 교수)

입학관련 자세한 사항은 행정실로 문의 바랍니다.

궁금한 점에 대해서 문자나 메일을 주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

 

동국대학교 챗봇 서비스